상수(constant)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변수(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상수(constana)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리터럴(literal)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변수에 타입이 있는 것처럼 리터럴에도 타입이 있다.

종류 리터럴 접미사
논리형 false, true 없음
정수형 123, 0b0101, 077, 0xFF, 100L L
실수형 3.14, 3.0e8, 1.4f, 0x1.0p-1 f, d
문자형 'A', '1', '\N' 없음
문자열 "ABC", "123", "A", "TRUE" 없음

실수형 리터럴에는 접미사를 붙여서 타입을 구분한다.

 

리터럴의 타입은 저장될 변수의 타입과 일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저장 범위가 넓은 타입 << 좁은 타입을 저장하는 것은 가능하다

반면에

저장범위가 좁은 타입 << 넓은 타입을 저장하려고 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A'와 같이 작은 따옴표로 문자 하나를 감싼 것을 문자 리터럴이라고 하며

두문자 이상은 "AB"큰따옴표로 감싸며 문자열 리터럴이라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