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zen garden

css zen garden은 CSS 기반 디자인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전 세계 웹 개발 자원입니다.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이너가 만든 스타일 시트는 수백가지의 HTML 파일의 시각 자료를 만드는데사용됩니다. HTML 마크업은 변하지 않으며 모든 시각 자료는 CSS를 외부파일로 참조해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2003년 5월 출시 당시에는 5가지 디자인만 있었습니다.

웹 개발자 Chris Casciano의 "Daily CSS Fun"라는 CSS 관련 디자인을 웹 표준으로 만들려는 활동인   웹 표준 프로젝트을 통해 알려졌습니다.[2] "웹 표준 프로젝트는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영감을 주는 프로젝트 중 하나"로 간주되는 [3] 이 사이트는 "웹에서 미적 표준을 높이고 웹 디자인을 다양하게"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4] 저명한 웹 표준 옹호자 Jeffrey Zeldman"수백 명의 디자이너가 Zen Garden 레이아웃을 만들어 명성을 얻었고 때로는 명성을 얻었고 전 세계 수만 명의 디자이너가 그것으로 인해 CSS를 사랑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5]

CSS Zen Garden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다른 언어로 유사한 사이트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2005년 2월, CSS 디자인의 Zen ( Peachpit Press )은 CSS Zen Garden 제작자 Dave Shea 와 웹 디자이너 Molly Holzschlag에 의해 출판되었습니다 . 이 책은 Zen Garden 사이트에 소개된 36개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합니다.

사이트의 활발한 개발은 2008년 4월에 중단되었습니다. 그러나 2013년 5월 7일 사이트의 10주년을 위해 Shea는 HTML5 , CSS3 및 현재 디자인 원칙 에 초점을 맞춰 제출물을 다시 공개했습니다 . [6] 현재 Zen Garden에는 218개의 디자인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minify

CSS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됩니다. CSS의 크기가 커지면 클라이언트와 고객에게 손해입니다. 따라서 코드를 줄일 필요성이 있는데 코드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통해서 이런 문제를 완화해주는 도구가 minify 도구입니다. 단적으로 구글에서 minify해서 로딩시간 0.1초 줄였더니 사용량20%가 증가했다는 실험이 있었고 그 효용성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소스코드의 컴파일언어 또는 마크업 언어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가독성만을 위한 문자들을 줄여서 네트워크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듭니다. 프로그래머 문화에서 극도로 축소된 소스 코드를 목표로 하는 것은 레크리에이션 코드 골프 대회의 목적입니다.

축소의 목표는 암호화의 목표와는 다르지만 코드의 압축을 위해 암호화에 사용되는 기술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변수이름을 줄이거나 소스코드를 리팩토링하는 것들이 그에 포함됩니다.

 

 

 

W3C

W3C(영어: World Wide Web Consortium, 축약형은 영어: WWW 또는 W3)는 월드 와이드 웹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조직으로 팀 버너스 리를 중심으로 1994년 10월에 설립되었다. W3C는 회원기구, 정직원,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웹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 컨소시엄이다. W3C의 설립취지는 웹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프로토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월드 와이드 웹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cmyk

CMYK 색 모형(Cyan Magenta Yellow Key(Black))은 감산 혼합의 색 모형이다. 마젠타, 시안, 노랑, 검정을 원색으로 한다.

예를 들면, 마젠타와 시안을 혼합하면 명도가 낮은 파랑이 된다. 이 방법으로는 하양을 제외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수채화, 컬러 사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필름을 소부(현상)해서 인쇄하는 오프셋 인쇄에 사용되기 때문에, 쿼크익스프레스, 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에서는 CMYK 모드를 지원한다. RGB나 HSB(HSV)보다 표현 가능한 색이 적다. 이를테면 보라색을 들 수 있다.

북 디자이너들은 원하는 색을 CMYK로 표현하기 위해 색들이 나열된 표(컬러차트)를 사용한다. 주로 인쇄에서 사용된다.

 

 

 

HTML5 Shiv

인터넷 익스플로러 9 이하에서 시맨틱 태그를 지원하도록 한다.

 

 

h264

블록 단위 움직임 보상 기반의 영상 압축 표준인 H.264 또는 MPEG-4 파트 10, Advanced Video Coding (MPEG-4 AVC)는 동영상 녹화, 압축, 배포를 위한 방식들 중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맷이다.

 

 

 

https://html5test.com/

웹브라우저가 잘 돌아가나 테스트하는 사이트이다.

 

 

bps

보통 bps라고 쓰며 통신기기의 속도를 나타낼때 주로 쓰이며 소문자로 사용한다.

 

 

가변비트레이트

가변 비트레이트(variable bitrate, VBR)는 오디오나 비디오 인코딩 형식 중 하나이다. 고정 비트레이트(CBR)에 비해 단위 시간당 출력하는 데이터의 양이 계속 변한다. 또한, 비트레이트의 효율적 할당이 가능하다. 그래서 CBR에 비해 더욱 복잡한 연산을 한다.

 

고정 비트레이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Jquery

jQuery(제이쿼리)는 HTML 클라이언트 사이드 조작을 단순화 하도록 설계된 크로스 플랫폼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다. 존 레식 2006년 뉴욕 시 바캠프(Barcamp NYC)에서 공식적으로 소개하였다.

Query 1.x와 2.x는 모두 최신 안정화 버전 및 그 이후 버전의 파이어폭스, 구글 크롬, 사파리, 그리고 오페라를 지원한다. 1.x 버전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6 및 그 이후 버전을 지원한다. 그러나 2.x 버전에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8 버전이 지원되지 않으며 인터넷 익스플로러 9 또는 그 이후 버전을 지원한다.[6]

 

cubic-bezier

베지에 곡선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사이트.

transition의 타이밍펑션에 직접적으로 사용 가능

 

 

HTML Canvas Graphics

비트 맵 이미지, 비트맵을 업데이트 하는 낮은 수준의 절차적 모델이며, 2D게임 제작등에 이용됩니다.

 

Canvas3D (webgl)

WebGL ( 웹 그래픽 라이브러리의 줄임말 )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호환되는 모든 웹 브라우저 내에서 대화형 2D 및 3D 그래픽을 렌더링 하기 위한 JavaScript API 입니다 . [2] WebGL은 다른 웹 표준 과 완전히 통합되어 웹 페이지 캔버스의 일부로 물리학 및 이미지 처리 및 효과의 GPU 가속 사용을 허용합니다. WebGL 요소는 다른 HTML 요소와 혼합될 수 있으며 페이지 또는 페이지 배경의 다른 부분과 합성 될 수 있습니다 . [삼]

WebGL 프로그램은 JavaScript로 작성된 제어 코드  C 또는 C++ 과 유사한 언어인 GLSL ES( OpenGL ES Shading Language )로 작성된 셰이더 코드 로 구성되며 컴퓨터의 GPU( 그래픽 처리 장치 )에서 실행됩니다. WebGL은 비영리 Khronos Group 에서 설계 및 유지 관리합니다 . [4]

 

WebGL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JavaScript bindings for OpenGL in web browsers WebGL (Short for Web Graphics Library) is a JavaScript API for rendering interactive 2D and 3D graphics within any compatible web browser

en.wikipedia.org

 

콘텐츠 신디케이션

콘텐츠 신디케이션은 콘텐츠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를 연결해주는 사이버 콘텐츠 중개사업을 말한다. 신디케이터는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지는 않지만 우수한 콘텐츠를 수집, 가공해 인터넷 사이트 운영업체에 제공한다. 웹 2.0으로 향하는 처음의 가장 중요한 발전 중의 하나가 바로 웹사이트 콘텐츠에 대한 신디케이션이다. 신디케이션은 최종 사용자가 사이트의 자료를 다른 장소, 즉 다른 웹사이트, 브라우저 플러그인, 독립된 데스크톱 응용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신디케이션을 위한 프로토콜들은 모두 XML을 기반으로 하는데 RSS, Atom등이 있다. (사회적 네트워크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FOAF XFN과 같은 특수한 프로토콜들은 사이트의 기능을 확장시켜 주거나, 중앙에서 관리하는 웹사이트 없이도 최종 사용자들의 상호 작용을 가능케 해 준다. 마이크로포맷 사이트에 가면 좀 더 특수한 데이터 포맷들을 볼 수 있다.

최근의 이 같은 개발 경향 때문에, 이런 프로토콜들이 공식 표준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지만 사실상의 표준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ch Internet Application; RIA)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기존 웹 브라우저 기반 인터페이스의 단점인 늦은 응답 속도,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떨어지는 조작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의 통칭이다. 즉, 별도의 설치가 필요 없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장점과 서버 측 웹 서비스와의 연동, 마크업 언어 기반의 선언적 애플리케이션 구성 등은 유지하면 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과 대등한 사용자 경험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술이다.

흔히 어도비 플래시 기반 플렉스 마이크로소프트 실버라이트, 자바FX 등 별도의 런타임 시스템을 가진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나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향상하는 기법인 Ajax,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많은 발전을 가져올 HTML의 다음 버전인 HTML5 등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기도 한다. 별도의 런타임 시스템을 가진 기술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 내에서 플러그인으로 실행되기도 하고 단독으로 실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 같이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이라는 개념은 정확한 정의가 있다기 보다는 다소 모호하고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

'HTML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용어  (0) 2021.08.02

APK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영어: Android application package, APK)는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배포에 사용되는 패키지 파일이며, '.apk'확장자를 가진다. APK 파일은 우분투 같은 데비안 기반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는 뎁 패키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MSI 패키지와 같은 설치 파일과 비슷하다. APK 파일을 만들려면, 안드로이드용 프로그램을 먼저 컴파일한 후, 모든 파일들을 하나의 패키지 파일로 모은다. APK 파일은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모든 코드를 포함하며, 자원, 정보, 인증서 및 매니페스트 파일 (en:Manifest file) 등을 포함한다.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의 확장자는 .apk ZIP파일 기반인 JAR를 기반으로 하며, 압축 파일의 한 종류이다. MIME 유형은 application/vnd.android.package-archive이다.

 

 

ios jailbreak

iOS 탈옥(영어: iOS jailbreak)은 iOS의 샌드박스 제한을 풀어 타 회사에서 사용하는 서명되지 않은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시디아의 개발자인 제이 프리맨은 전체 아이폰 중 10%가 탈옥되었다고 추정한다.

 

탈옥을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애플과 앱 스토어가 막아 놓은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이다.[2] 애플은 앱 스토어에 앱을 등록하기 전에, 먼저 앱이 정책에 부합하는지를 검열하는 절차를 가진다.[3] 하지만, 애플의 검열 기준은 안전성과 보안 문제만에 관한 것은 아니며, 이 기준은 상당히 모호하고 독단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4] 검열에서 삭제된 앱들을 이용하기 위해서,[5] 사용자들은 탈옥을 함으로써 앱스토어를 이용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탈옥을 함으로써 아예 애플에게 검열받지 않은 앱,[6] 즉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앱이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시디아를 통해서 다운받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의 앱스토어 규정을 완전히 무시해도 되기 때문에, 시디아의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그 자체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앱스토어의 다른 앱들을 해킹하는 용도로 쓰인다.[7] 유저들은 이러한 탈옥 앱을 설치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개인화하거나,[7]필요한 기능들을 추가하거나 고칠 수 있으며,[8] 직접 파일에 엑세스함으로써 앱을 좀 더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9][10] 중국사람들은 애플것보다 쓰기 쉬운 중국어 자판을 설치하기 위해 탈옥을 하기도 한다.[11]

 

iOS 탈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OS 탈옥(영어: iOS jailbreak)은 iOS의 샌드박스 제한을 풀어 타 회사에서 사용하는 서명되지 않은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시디아의 개발자인 제이 프리맨은 전체 아이폰 중 10%가

ko.wikipedia.org

 

 

 

루팅

루팅(영어: rooting)은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상에서 최상위 권한(루트 권한)을 얻음으로 해당 기기의 생산자 또는 판매자 측에서 걸어 놓은 제약을 해제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루팅을 통해 해당 기기의 사용자들은 생산자 또는 판매자 측에서 공식 제공하는 버전보다 더 높은 버전의 안드로이드나 CyanogenMod처럼 사용자들이 임의로 개조한 안드로이드를 설치 및 구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속한 지역의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에게 판매하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구입하거나 일반 사용자 권한 이상의 권한 등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들을(백업 프로그램, 하드웨어 해킹 프로그램 등)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특성상 반드시 최고권한(관리자)이 필요한 동작(카메라무음, 파일접근, 시스템앱삭제 등등)을 수행하고자 할 때 진행된다. 한 번 루팅된 안드로이드는 언루팅 하지 않는 이상 몇 번이고 supersu를 지웠다 설치했다 해도 루팅은 그대로 유지된다.

기기의 생산자 또는 판매자 측에서 걸어 놓은 제약을 해제한다는 면에서 iOS 관련 용어인 탈옥(Jailbreaking)과 비슷하지만 안드로이드 루팅은 서드파티 프로그램 설치를 막아 놓은 AT&T 안드로이드 폰들을 제외하고는[1] 루팅 없이도 구글 플레이에서 제공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따로 구할 필요가 없다는 차이점이 있다.

 

 

 

 

넷스케이프(몰라도된다.)

 

 

서브라임텍스트

서브라임 텍스트(Sublime Text)는 파이썬 API용으로 작성된 사유 크로스 플랫폼 소스 코드 편집기이다.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 마크업 언어를 네이티브로 지원하며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플러그인은 일반적으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공동체에 의해 빌드, 관리된다)

 

 

 

아톰

아톰(Atom)은 자유-오픈 소스 형태의[4][5] OS X, 리눅스, 윈도우[6] 문서  소스 코드 편집기이다. Node.js로 작성된 플러그인, 깃허브가 개발한 임베디드 깃 관리 지원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확장 패키지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취하며 커뮤니티가 만들고 관리하고 있다.[7] 아톰은 크로미엄에 기반을 두며 커피스크립트로 작성되어 있다.[8] IDE로 사용할 수도 있다. 2015년 6월 25일에 정식 1.0 버전이 출시되었다.[9]

 

아톰 (문서 편집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톰 (문서 편집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팬그램

팬그램(pangram)은 알파벳의 모든 글자를 사용해 만든 문장을 뜻한다. 엄격하게 한 글자를 한 번만 사용한 경우도 있고, 복수 사용을 허용한 경우도 있다. 즉, 글이 최대한 짧으면서 모든 글자를 사용했을 때 가치가 높아진다.

그 자체로 언어유희로서 창작되고 활용되기도 하며 장비를 테스트할 때도 이용된다. 특히 시각 디자인에서 폰트 모양을 보여줄 때 요긴하게 사용된다. 레이아웃을 보여줄 때 사용하는 의미 없는 글줄인 로렘 입숨과 성격이 비슷하다.

팬그램의 반대 개념으로, 알파벳의 특정 글자를 사용하지 않고 문장을 만드는 것을 리포그램이라고 하며, 이쪽은 오히려 글이 길어야 가치가 높아진다. 이는 KBS의 스펀지 95회 방송분에서 언급된 적이 있다.

http://guny.kr/stuff/klorem/

 

한글 Lorem Ipsum (간세네)

로렘 입숨(lorem ipsum; 줄여서 립숨, lipsum)은 출판이나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폰트,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같은 그래픽 요소나 시각적 연출을 보여줄 때 사용하는 표준 채우기 텍스트로, 최종

guny.kr

 

 

 

브라우저 엔진

트라이던트 엔진은 이질적인 엔진이다.

브라우저 엔진(browser engine)은 주된 모든 웹 브라우저의 핵심이 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이다. 브라우저 엔진의 주된 역할은 HTML 문서와 기타 자원의 웹 페이지 사용자의 장치에 상호작용적인 시각 표현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데이트 피커(예전에쓰던거)

jQuery UI(제이쿼리 UI)는 jQuery(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종속형 시트(CSS), HTML로 구현된 GUI 위젯, 애니메이션 시각 효과, 테마의 묶음이다.[4] 자바스크립트 애널리틱스 서비스 Libscore에 따르면 jQuery UI는 상위 100만 개의 웹사이트 중 197,000곳 이상에서 이용되며 2번째로 유명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분석되었다.[5] 저명한 사용처는 핀터레스트, 페이팔, IMDb, 허핑턴 포스트, 넷플릭스가 포함된다.[6]

jQuery와 jQuery UI 둘 다 MIT 허가서를 통해 jQuery 재단에 의해 배급되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jQuery UI는 2007년 9월 처음 게시되었다.[3][7]

 

 

jQuery UI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jQuery UI(제이쿼리 UI)는 jQuery(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종속형 시트(CSS), HTML로 구현된 GUI 위젯, 애니메이션 시각 효과, 테마의 묶음이다.[4] 자바스크립트 애널리틱스 서비스 Libscore에 따르면 jQue

ko.wikipedia.org

https://jqueryui.com/datepicker/

 

Datepicker | jQuery UI

Datepicker Select a date from a popup or inline calendar The datepicker is tied to a standard form input field. Focus on the input (click, or use the tab key) to open an interactive calendar in a small overlay. Choose a date, click elsewhere on the page (b

jqueryui.com

 

modal

이미지 하이라이트 대신 사용 같은창이어도 사용자가 다른 느낌을 받도록

아래사이트에서 관련 내용 확인가능

https://www.w3schools.com/

 

W3Schools Online Web Tutorials

HTML Example:

This is a heading

This is a paragraph.

Try it Yourself CSS Example: body {   background-color: lightblue; } h1 {   color: white;   text-align: cente

 

www.w3schools.com

 

출처 : 위키백과

 

'HTML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용어2  (0) 2021.08.05

+ Recent posts